해석개론/실수의 성질과 수열의 극한/실수의 연산과 순서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 당신의 편집 | ||
54번째 줄: | 54번째 줄: | ||
* '''(순1)''' <math>\forall a,b\in P \Rightarrow a+b,ab\in P</math> | * '''(순1)''' <math>\forall a,b\in P \Rightarrow a+b,ab\in P</math> | ||
<math>P</math>는 덧셈과 곱셈에 대해 닫혀있다. 양수를 더하거나 곱하면 다시 양수가 됨을 생각하면 편하다. | |||
* '''(순2)''' <math>F=P\cup \{0\} \cup -P</math> | * '''(순2)''' <math>F=P\cup \{0\} \cup -P</math> | ||
* '''(순3)''' <math>P, \{0\}, -P</math>는 모두 서로소. | * '''(순3)''' <math>P, \{0\}, -P</math>는 모두 서로소. 간단히 말해 체의 모든 원소가 양수, 0, 음수 중 하나에 속한다는 것이다. | ||
양수 집합이 존재하면 뺄셈의 결과가 양수, 0, 음수 중 어디에 속하는지 확인하여 대소 관계를 판별할 수 있다. 이는 정확하게 대소의 정의이다. | 양수 집합이 존재하면 뺄셈의 결과가 양수, 0, 음수 중 어디에 속하는지 확인하여 대소 관계를 판별할 수 있다. 이는 정확하게 대소의 정의이다. | ||
76번째 줄: | 76번째 줄: | ||
\end{array}</math> | \end{array}</math> | ||
* '''명제 1.1.2(나)''' <math>a\le b,b\le c \Rightarrow a\le c</math> | * '''명제 1.1.2(나)''' <math>a\le b,b\le c \Rightarrow a\le c</math>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