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개론/실수의 성질과 수열의 극한/실수의 연산과 순서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4번째 줄: 54번째 줄:


* '''(순1)''' <math>\forall a,b\in P \Rightarrow a+b,ab\in P</math>
* '''(순1)''' <math>\forall a,b\in P \Rightarrow a+b,ab\in P</math>
: <math>P</math>는 덧셈과 곱셈에 대해 닫혀있다. 양수를 더하거나 곱하면 다시 양수가 됨을 생각하면 편하다.
 
<math>P</math>는 덧셈과 곱셈에 대해 닫혀있다. 양수를 더하거나 곱하면 다시 양수가 됨을 생각하면 편하다.
* '''(순2)''' <math>F=P\cup \{0\} \cup -P</math>
* '''(순2)''' <math>F=P\cup \{0\} \cup -P</math>
* '''(순3)''' <math>P, \{0\}, -P</math>는 모두 서로소.
* '''(순3)''' <math>P, \{0\}, -P</math>는 모두 서로소. 간단히 말해 체의 모든 원소가 양수, 0, 음수 중 하나에 속한다는 것이다.
: 간단히 말해 체의 모든 원소가 양수, 0, 음수 중 하나에 속한다는 것이다.


양수 집합이 존재하면 뺄셈의 결과가 양수, 0, 음수 중 어디에 속하는지 확인하여 대소 관계를 판별할 수 있다. 이는 정확하게 대소의 정의이다.
양수 집합이 존재하면 뺄셈의 결과가 양수, 0, 음수 중 어디에 속하는지 확인하여 대소 관계를 판별할 수 있다. 이는 정확하게 대소의 정의이다.
76번째 줄: 76번째 줄:
\end{array}</math>
\end{array}</math>
* '''명제 1.1.2(나)''' <math>a\le b,b\le c \Rightarrow a\le c</math>
* '''명제 1.1.2(나)''' <math>a\le b,b\le c \Rightarrow a\le c</math>
: 집합 <math>P\cup \{0\}</math>이 덧셈과 곱셈에 대하여 닫혀있음은 모든 경우를 나누어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면 위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math>b-a, c-b \in P\cup \{0\} \Rightarrow (b-a)+(c-b) = c-a \in P\cup \{0\}, \therefore a \le c</math>.
* '''명제 1.1.3(다)''' <math>a+b < a+c \Leftrightarrow b < c</math>
: 양변을 빼보면 같은 값이다. Q.E.D.
* '''명제 1.1.3(라)''' <math>a > 0, b < c \Rightarrow ab < ac</math>
: <math>c-b, a-0=a \in P</math>이므로 둘을 곱한 값도 양수이다. (체9)와 명제 1.1.1(라)를 쓰면 뺄셈 꼴이 나온다.
* '''명제 1.1.3(마)''' <math>a<0,b < c\Rightarrow ab > ac</math>
: <math>a<0</math>에 <math>-a</math>를 더하면 명제 1.1.3(다)에 의해 <math>-a>0</math>이다. 그러면 명제 1.1.3(라)에 의해 <math>-ab < -ac</math>이고 다시 양변에 <math>ab + ac</math>를 더하면 명제 1.1.3(다)에 의해 <math>ab > ac</math>를 얻는다.
* '''명제 1.1.3(바)''' <math>a^2 \ge 0, 1 > 0</math>
: <math>a \in P</math>인 경우 (순1)에 의해 <math>a\cdot a = a^2 \in P \subset P\cup\{0\}</math>이다. 마찬가지로 <math>a = 0</math>인 경우에도 명제 1.1.1(다)에 의해 <math>a\cdot a = 0</math>으로 위 명제가 성립한다. <math>a \in -P</math>인 경우 곧 <math>-a \in P</math>이므로 <math>a^2=(-a)(-a)\ge 0</math>이다. (순2)에 의해 모든 <math>a</math>에 대해 위 명제가 성립한다. 특히 (체6)에 의해 <math>1\cdot 1=1\ne 0</math>이므로 <math>1>0</math>이다.
* '''명제 1.1.3(사)''' <math>0 < a < b \Rightarrow 0 < b^{-1} < a^{-1}</math>
: 우선 양수의 역원은 양수임을 보인다. 만일 양수 <math>a</math>의 역원이 음수라면, 명제 1.1.3(라), 명제 1.1.1(다)에 의해 <math>a\cdot a^{-1}=1<0=a\cdot 0</math>이다. 이는 명제 1.1.3(바)와 모순이므로 양수의 역원은 음수가 아니다. 또 만약 역원이 0이라면 명제 1.1.1(다)에 의해 <math>a\cdot a^{-1} = a\cdot 0 = 0</math>로 0이 역원이라는 데에 모순이다. 따라서 양수의 역원은 양수이다.
: 명제 1.1.3(나)와 (순3)에 의해 <math>a, b\in P</math>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 <math>a^{-1},b^{-1}\in P</math>이므로, 양변에 <math>a^{-1}b^{-1}</math>을 곱하면 (순1)과 명제 1.1.3(라)에 의해 <math>0 < b^{-1} < a^{-1}</math>이다.
* '''명제 1.1.3(아)''' <math>a,b>0</math>일 때, <math>a^2<b^2 \Leftrightarrow a<b</math>
: (순1)에 의해 <math>a + b > 0</math>이다. 따라서 <math>b^2 - a^2 = (b - a)(b + a) > 0 \Leftrightarrow b - a > 0</math>이다.

왼손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제로 (퍼블릭 도메인)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왼손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