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개론/실수의 성질과 수열의 극한/실수의 연산과 순서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1번째 줄: 11번째 줄:


* '''(체1)''' <math>\forall a,b,c\in F:\left(a+b\right)+c=a+\left(b+c\right)</math>
* '''(체1)''' <math>\forall a,b,c\in F:\left(a+b\right)+c=a+\left(b+c\right)</math>
* '''(체4)''' <math>\forall a,b\in F: a+b=b+a</math>
* '''(체4)''' <math>\forall a,b\in F: a+b=b+a</math> 덧셈의 결합법칙과 교환법칙. 이 둘이 있어야 2, 3번이 깔끔하게 나와서 순서를 좀 바꿨다. (체1)과 (체4)를 조합하면 덧셈의 순서를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 앞으로 순서를 바꾸는 과정이 명백하면 그 과정은 생략한다.
:덧셈의 결합법칙과 교환법칙. 이 둘이 있어야 2, 3번이 깔끔하게 나와서 순서를 좀 바꿨다. (체1)과 (체4)를 조합하면 덧셈의 순서를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 앞으로 순서를 바꾸는 과정이 명백하면 그 과정은 생략한다.
* '''(체2)''' <math>\exists e\in F \forall a\in F: a+e=a</math> 더해도 아무런 효과가 없는 녀석이 체에 존재한다. 특히 그런 녀석이 유일하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위 성질을 만족하는 녀석을 <math>e,e'</math>로 두 마리 찾았다고 가정하자.<math display="block">e=e+e'=e'</math>두 마리를 찾으면 둘은 항상 같은 놈이다. 즉, 위 성질을 만족하는 녀석은 체에서 유일하다. 그런 녀석을 '''덧셈의 항등원'''이라고 부르며, 앞으로 <math>0</math>으로 표기한다. 눈치가 빠르면 알겠지만 이는 실수 0에 대응된다.
* '''(체2)''' <math>\exists e\in F \forall a\in F: a+e=a</math>
* '''(체3)''' <math>\forall a\in F \exists x \in F : a+x=0</math> 체의 모든 원소에게는 더하면 0이 되어버리는 라이벌이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그런 녀석도 유일하다. 위 성질을 만족하는 녀석을 <math>x, x'</math>로 두 마리 찾았다고 가정하자.<math display="block">x=x+0=x+(a+x')=(x+a)+x'=0+x'=x'</math>따라서 위 성질을 만족하는 녀석은 체에서 유일하고, 그런 녀석을 '''덧셈의 역원'''이라고 부르며 앞으로 <math>-a</math>로 표기한다. 또 <math>a+(-b)</math>는 간단하게 <math>a-b</math>로 나타낸다. 뺄셈은 뒤의 원소의 역원을 더하는 연산인 셈이다. 실수에서 덧셈의 역원도 마이너스 부호를 붙여 찾을 수 있다.
: 더해도 아무런 효과가 없는 녀석이 체에 존재한다. 특히 그런 녀석이 유일하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위 성질을 만족하는 녀석을 <math>e,e'</math>로 두 마리 찾았다고 가정하자.<math display="block">e=e+e'=e'</math>두 마리를 찾으면 둘은 항상 같은 놈이다. 즉, 위 성질을 만족하는 녀석은 체에서 유일하다. 그런 녀석을 '''덧셈의 항등원'''이라고 부르며, 앞으로 <math>0</math>으로 표기한다. 눈치가 빠르면 알겠지만 이는 실수 0에 대응된다.
* '''(체3)''' <math>\forall a\in F \exists x \in F : a+x=0</math>
: 체의 모든 원소에게는 더하면 0이 되어버리는 라이벌이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그런 녀석도 유일하다. 위 성질을 만족하는 녀석을 <math>x, x'</math>로 두 마리 찾았다고 가정하자.<math display="block">x=x+0=x+(a+x')=(x+a)+x'=0+x'=x'</math>따라서 위 성질을 만족하는 녀석은 체에서 유일하고, 그런 녀석을 '''덧셈의 역원'''이라고 부르며 앞으로 <math>-a</math>로 표기한다. 또 <math>a+(-b)</math>는 간단하게 <math>a-b</math>로 나타낸다. 뺄셈은 뒤의 원소의 역원을 더하는 연산인 셈이다. 실수에서 덧셈의 역원도 마이너스 부호를 붙여 찾을 수 있다.
* '''(체5)''' <math>\forall a,b,c\in F:a(bc)=(ab)c</math>
* '''(체5)''' <math>\forall a,b,c\in F:a(bc)=(ab)c</math>
* '''(체8)''' <math>\forall a,b\in F ab=ba</math>
* '''(체8)''' <math>\forall a,b\in F ab=ba</math> 곱셈의 결합법칙과 교환법칙. 덧셈처럼 곱셈도 순서를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 그 과정은 명백한 경우 생략한다.
: 곱셈의 결합법칙과 교환법칙. 덧셈처럼 곱셈도 순서를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 그 과정은 명백한 경우 생략한다.
* '''(체6)''' <math>\exists e\in F: e\ne 0,(\forall a \in F : ae=a)</math> 곱셈에도 덧셈처럼 항등원이 존재한다. 비슷한 논리로 이 녀석도 유일하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그런 녀석을 '''곱셈의 항등원'''이라고 부르며, 앞으로 <math>1</math>로 표기한다. 역시 실수 1에 대응된다. 한편 곱셈의 항등원과 덧셈의 항등원이 다르다는 것이 공리로써 보장되는 것도 주목할만한 점이다.
* '''(체6)''' <math>\exists e\in F: e\ne 0,(\forall a \in F : ae=a)</math>
* '''(체7)''' <math>\forall a\in F \setminus \left\{0\right\}\exists x\in F:ax=1</math> 체의 원소에게는 곱해서 1이 되어버리는 다른 종류의 라이벌도 존재한다. 다만 0은 라이벌이 없다. 천하무적이라고 볼 수 있다. (체3)에서와 비슷하게 그런 라이벌이 유일함을 보일 수 있다. 그런 녀석을 '''곱셈의 역원'''이라고 부르며 앞으로 <math>a^{-1}</math>로 표기한다. 나눗셈이란 바로 이 역원을 곱하는 연산이라고 볼 수 있다. 실수에서는 역원을 <math>a^{-1}=1/a</math>로 찾을 수 있다. 0의 역원이 없다는 말에는 0으로 나눌 수 없다는 심오한 뜻이 담겨있다. 사칙연산을 정의할 때에 불가피한 절대적 성질이라는 것이다.
: 곱셈에도 덧셈처럼 항등원이 존재한다. 비슷한 논리로 이 녀석도 유일하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그런 녀석을 '''곱셈의 항등원'''이라고 부르며, 앞으로 <math>1</math>로 표기한다. 역시 실수 1에 대응된다. 한편 곱셈의 항등원과 덧셈의 항등원이 다르다는 것이 공리로써 보장되는 것도 주목할만한 점이다.
* '''(체9)''' <math>\forall a,b,c \in F : a(b+c)=ab+ac</math> 분배법칙. 별로 할 얘기는 없다.
* '''(체7)''' <math>\forall a\in F \setminus \left\{0\right\}\exists x\in F:ax=1</math>
: 체의 원소에게는 곱해서 1이 되어버리는 다른 종류의 라이벌도 존재한다. 다만 0은 라이벌이 없다. 천하무적이라고 볼 수 있다. (체3)에서와 비슷하게 그런 라이벌이 유일함을 보일 수 있다. 그런 녀석을 '''곱셈의 역원'''이라고 부르며 앞으로 <math>a^{-1}</math>로 표기한다. 나눗셈이란 바로 이 역원을 곱하는 연산이라고 볼 수 있다. 실수에서는 역원을 <math>a^{-1}=1/a</math>로 찾을 수 있다. 0의 역원이 없다는 말에는 0으로 나눌 수 없다는 심오한 뜻이 담겨있다. 사칙연산을 정의할 때에 불가피한 절대적 성질이라는 것이다.
* '''(체9)''' <math>\forall a,b,c \in F : a(b+c)=ab+ac</math>
: 분배법칙. 별로 할 얘기는 없다.


=== 예시 ===
=== 예시 ===
37번째 줄: 30번째 줄:
아래는 체에서 성립하는 몇가지 성질들이다. 임의의 <math>a, b, c\in F</math>에 대해
아래는 체에서 성립하는 몇가지 성질들이다. 임의의 <math>a, b, c\in F</math>에 대해


* '''명제 1.1.1.(가)''' <math>-(-a)=a, a\ne 0\Rightarrow (a^{-1})^{-1}=a</math>
* '''명제 1.1.1.(가)''' <math>-(-a)=a, a\ne 0\Rightarrow (a^{-1})^{-1}=a</math> 역원의 역원은 자기자신이다. <math>b</math>가 <math>a</math>의 역원이라는 것의 정의는 <math>a+b=0</math>이다. 이 식에서 바로 <math>a</math>가 <math>b</math>의 역원임을 알 수 있다.
: 역원의 역원은 자기자신이다. <math>b</math>가 <math>a</math>의 역원이라는 것의 정의는 <math>a+b=0</math>이다. 이 식에서 바로 <math>a</math>가 <math>b</math>의 역원임을 알 수 있다.
* '''명제 1.1.1.(나)''' <math>(a+b=a+c\Rightarrow b=c), (a\ne 0,ab=ac \Rightarrow b=c)</math> 등식의 양변에 같은 수가 더해지거나 곱해진 경우 지울 수 있다. <math>-a</math>을 더하거나 <math>a^{-1}</math>을 곱해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명제 1.1.1.(나)''' <math>(a+b=a+c\Rightarrow b=c), (a\ne 0,ab=ac \Rightarrow b=c)</math>
* '''명제 1.1.1.(다)''' <math>ab=0\Leftrightarrow a=0\ \mathrm{or}\ b=0</math> 곱해서 0이면 둘 중 하나는 0이다. 반대로 어떤 수에 0을 곱하면 0이 된다.  먼저 왼쪽으로 증명해보자. <math>a\cdot 0 + a\cdot 0 = a(0+0)=a\cdot 0=a\cdot 0 + 0</math>이므로, 1.1.1.(나)를 적용하면 <math>a\cdot 0 =0</math>이다.  오른쪽으로의 증명은 귀류법을 사용한다. <math>ab=0,a\ne 0, b\ne 0</math>이라고 가정하면 <math>0=0\cdot b^{-1}a^{-1}=abb^{-1}a^{-1}=1</math>로 모순이다.
: 등식의 양변에 같은 수가 더해지거나 곱해진 경우 지울 수 있다. <math>-a</math>을 더하거나 <math>a^{-1}</math>을 곱해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명제 1.1.1.(라)''' <math>(-a)b=-(ab)=a(-b)</math> 마이너스 부호를 곱셈처럼 쓸 수 있음을 알려준다. <math>ab</math>를 더해 분배법칙을 적용해보면 모두 0이 되어 <math>ab</math>의 역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어떤 원소에 대한 곱셈의 역원은 유일하므로 위 등식의 세 변은 모두 같음을 확인할 수 있다.
* '''명제 1.1.1.(다)''' <math>ab=0\Leftrightarrow a=0\ \mathrm{or}\ b=0</math>
: 곱해서 0이면 둘 중 하나는 0이다. 반대로 어떤 수에 0을 곱하면 0이 된다.  먼저 왼쪽으로 증명해보자. <math>a\cdot 0 + a\cdot 0 = a(0+0)=a\cdot 0=a\cdot 0 + 0</math>이므로, 1.1.1.(나)를 적용하면 <math>a\cdot 0 =0</math>이다.  오른쪽으로의 증명은 귀류법을 사용한다. <math>ab=0,a\ne 0, b\ne 0</math>이라고 가정하면 <math>0=0\cdot b^{-1}a^{-1}=abb^{-1}a^{-1}=1</math>로 모순이다.
* '''명제 1.1.1.(라)''' <math>(-a)b=-(ab)=a(-b)</math>
: 마이너스 부호를 곱셈처럼 쓸 수 있음을 알려준다. <math>ab</math>를 더해 분배법칙을 적용해보면 모두 0이 되어 <math>ab</math>의 역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어떤 원소에 대한 곱셈의 역원은 유일하므로 위 등식의 세 변은 모두 같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순서체 ==
== 순서체 ==

왼손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제로 (퍼블릭 도메인)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왼손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